닫기

로그인

학회지
The Korea Society of Dance Studies

pISSN: 1975-4477 / e-ISSN 2765-5172

한국무용학회지, Vol.20 no.2 (2020)
pp.1~12

DOI : 10.26743/kaod.2020.20.2.001

- 시용무보(時用舞譜)의 정대업지무(定大業之舞) 중 탁정(濯征)의 분석을 통한 검무(劍舞)동작 연구 -

도기현

(연세대학교, 겸임교수)

정원정

(부산대학교, 강사)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은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1호이며 유네스코(UNESCO)에 세계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 된 우리민족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묘제례악이 여러 가지로 왜곡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어떤 부분이 문제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종묘제례악은 악가무(樂歌舞)로 이루어져 있는데 종묘제례 때 사용되는 춤을 종묘일무(宗廟佾舞)라 한다. 본 연구는 종묘일무 중 무무(武舞)인 정대업지무(定大業之舞)의 3번째 곡(曲) ‘탁정(濯征)’에 관한 연구를 통해, 종묘제례악의 왜곡 중 정대업지무의 검무(劍舞) 동작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시용무보(時用舞譜)에 기록된 탁정과 현행 국가중요무형문 화재로 지정된 탁정의 동작들을 비교하며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로 현행 정대업지무의 탁정은 검무임에도 검술적인 기법이 부족하다는 것이고, 둘째로 현행 정대업지무의 탁정은 검술적인 기법을 바탕으 로 한 술어(術語)에 대한 해석이 부족하다는 것이며, 끝으로 현행 정대업지무의 탁정은 시용무보의 탁정과 술어의 내용과 차례가 다르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지면 보다 정확한 탁정의 검무 동작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다시 말해서 검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잘 습득하여 검술적인 기법을 바탕으로 뜻글자인 한자로 이루어진 탁정의 술어에 대한 정확한 해석을 하고, 시용무보에 기록된 탁정의 차례대로 동작을 재현하면 보다 원형에 가까운 탁정의 검무 동작들을 이루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탁정의 검무 동작에 관한 본 연구는 추후 정대업지무의 검무 동작을 연구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제공되어 질 수 있다고 본다.

A Study on Sword Dance Movement through Analysis of Takjeong - Among the Jeongdaeupjimu of the Siyongmubo -

Do, Ki-Hyun

Chung, Won-Chung

Jongmyojeryeak(Jongmyo ritual music) is the first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the nation and is a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of our nation listed as a world hum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UNESCO. Nevertheless, the problem that Jongmyojeryeak is distorted in various ways is constantly being raised, an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ich part is the problem. Jongmyojeryeak consists of music, songs, and dances, and the dance used in Jongmyojerye is called Jongmyoilmoo.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word dance movement of Jeongdaeupjimu among the distortion of Jongmyojeryeak through the study on the third song 'Takjeong' by Jeongdaeupjimu, one of the Jongmyoilmoo.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movements of Takjeong recorded in Siyongmubo and Takjeong designated as the current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ent Takjeong of Jeongdaeupjimu lacks sword techniques even though it is a sword dance. Second, the present Takjeong of Jeongdaeupjimu lacks interpretation of predicate based on a sword technique. Finally, the present Takjeong of Jeongdaeupjimu is different with the Takjeong of Siyongmubo in the way of the content and turn of the predicate. Therefore, if complementation about this is made, more accurate Takjeong's sword movements can be found. In other words, it is expected that Takjeong's sword dance movements close to the original form can be achieved by acquiring the basic usage of sword and making accurate interpretation of Takjeong's predicate composed of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sword technique and reproducing the movements in order of Takjeong recorded in Siyongmubo. This study on Takjeong's sword dance movements can be provided as a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on the sword dance movements of Jeongdaeupjimu.

다운로드 (Download) 리스트(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