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용학회지, Vol.23 no.2 (2023)
pp.13~23
-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사회적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본 연구는 현대무용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국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현대무용 전공자 18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SPSS 18.0 활용하여 자료 처리하였다. 변수들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주성분 및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변수계산을 거쳐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의 교사지지가 진로준비행동의 모든 하위변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둘째, 교사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모든 변인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이 부분매개, 교사지지와 정보수집 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성이 부분매개, 교사지지와 정보수집행동, 목표달성행동의 관계에서 대인관계가 부분매개효 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교사와 학생 간 소통 창구를 위한 대학 당국 차원의 시스템마 련, 회복탄력성 관련 연구의 확대를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도출한다.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odern da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odern dance. 182 college students from the dance department of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across the country were surveyed and the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18.0. Principal component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variables. After tha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rough variable calculation, and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eacher’s support of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sub-variabl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variables of teacher’s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regulation abilit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upport and information collec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it is essential that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establish a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ollowed by the emphasis on an enhanced additional research on resil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