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용학회지, Vol.23 no.2 (2023)
pp.53~62
- 창작발레 안무의 문학적 해석과 이미지 연구 : 앙젤랭 프렐조카주 작품을 중심으로 -
이 연구에서는 창작발레 안무를 위한 방법론 모색을 위한 첫 단계를 문학적 해석력으로 규정하고, 해석학적 관점 에서 시도하는 문학적 해석력은 안무가에게 필요한 첫 번째 능력이며 자신이 ‘무엇’을 창작할 것인가를 새롭게 발 견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안무과정에 대한 문학적 해석의 개념규정을 제시하고 앙젤랭 프렐조카주 작품사례 분석 을 통한 새로운 발견과 이미지에 나타난 주제와 구성과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안무가에게 필요한 문학적 해 석의 첫 번째는 창작하고자 하는 ‘그 무엇’에 대한 자기이해의 능력을 상징과 이미지의 표현으로 규정하고 둘째, 이 과정에서 안무가 자신만의 새로운 이야기를 구조화하여 셋째, 구조화된 움직임의 상징과 표현이미지를 완성하 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결론적으로 창작발레의 문학적 해석은 움직임의 상징과 이미지의 분석적 사고와 표현과정 으로 나타나고 안무의 새로운 발견과 소통이미지는 예술가의 창조적 활동과 수용능력으로 평가되었다.
A Study on the Literary Interpretation and Image of Creative Ballet Choreography : Focusing on the works of Angelin Preljocaj
In this study, the first step in finding a methodology for creative ballet choreography is to define literary interpretation power, and the literary interpretation power attempted from an hermeneutic point of view is the process of newly discovering what to create as the first ability required by the choreographer. Therefore, the conceptual provisions of literary interpretation of this process were presented, and the subject and composition process in new discoveries and images were presented through case analysis of Angelin Prelezocaju's work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irst literary interpretation required for choreographers defines the ability to self-understand 'something' to be created as an expression of symbols and images, and second, the choreographer structured his own new story in this process In conclusion, the literary interpretation of creative ballet appears as the analytical thinking and expression process of symbols and images of movement, and the new discovery and communication image of choreography was evaluated as the capacity for creative activities of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