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로그인

학회지
The Korea Society of Dance Studies

pISSN: 1975-4477 / e-ISSN 2765-5172

한국무용학회지, Vol.20 no.2 (2020)
pp.69~82

DOI : 10.26743/kaod.2020.20.2.006

- 실용무용교육의 재개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 실용무용의 연구동향과 실용음악의 사례를 통해 -

정한결

(동덕여자대학교, 강사)

본 연구는 실용무용교육의 재개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로써, 실용무용 연구의 동향 분석을 통해 용어의 개념 적 사용 실태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타 예술 영역인 실용음악 사례를 고찰하여 실용무용교육의 재개념화에 있 어 개념적 맥락에서 요구되는 사고의 틀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실용무용의 영역적 범위에 대한 사고의 틀 구축이 요구된다. 실용무용교육의 교과과정 편성에 있어 특성화된 세부지침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실용무용 의 영역적 범위에 대한 사고의 틀 구축은 피할 수 없는 과정이다. 다음으로, 실용무용교육에 있어서 실용무용 관련 산업에 필요한 다양한 인력양성교육 및 세부 장르에 대한 사고의 틀 구축이 요구된다. 즉, 여러 형태의 장르들이 공존하고 있는 실용음악의 장르적 문제에 있어서 실용무용의 정체성 측면을 위한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

An Exploratory Study on Reconceptualization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 Through Research Trend of Practical Dance and Examples of Practical Music

Jung, Han-Kyeol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re-conceptualization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and the conceptual use status of the term was grasped through the analysis of trends in practical dance research. And by studying the practical music’s case, the other art field, the study derived the framework and implications of thoughts required in the conceptual context of the re-conceptualization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First, building mindset for territorial scope of practical dance is required. In order to prepare detailed guidelines specialized in the designing a curriculum of practical dance, building mindset for territorial scope of practical dance is inevitable. Second and lastly, building mindset for various human resources training and detailed genres necessary for industries related to practical dance in practical dance curriculum. In other words, in-depth consideration for identity of practical dance on the problem of practical music’s genre where various forms of genres co-exist is needed.

다운로드 (Download) 리스트(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