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로그인

학회지
The Korea Society of Dance Studies

pISSN: 1975-4477 / e-ISSN 2765-5172

한국무용학회지, Vol.21 no.4 (2022)
pp.1~16

DOI : 10.26743/kaod.2022.21.4.001

-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무용 잘 가르치기” : 의미 및 실행 양상 탐색 -

김수영

(서울대학교, 석사)

최의창

(서울대학교, 교수)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인 댄스 리터러시 함양의 관점에서 무용 잘 가르치기의 의미가 무 엇인지 살펴보고 수업 실행 양상이 어떠한지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및 지역구 문화재단 사업에 참여 중인 무용예술강사 10인을 유목적적 표집으로 선정했다. 연구 자료는 심층면담, 수업지 도안, 강사 반성일지, 학생 과제물, 수업 사진 및 영상이 수집되었으며 기술, 분석, 해석의 단계를 거쳐 범주화 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무용 잘 가르치기의 의미는 무용예술수업의 교육내용과 방법으로서, 무용장르에 따라 정형화된 동작을 익히는 고정된 움직임, 무용작품 내 동작 요소의 재조합을 배우는 구성된 움직임, 새로운 움 직임 창작을 익히는 변형된 움직임, 느낌과 감정에 의해 유발되는 움직임을 학습하는 해체된 움직임으로 나타 났다. 둘째, 무용예술수업의 실행 양상은 감각형, 표현형, 어울림형, 즐김형의 네 가지로 나타났으며, 그에 따라 학생들은 표면적 발전, 내면적 변화, 무용 향유력 형성의 결과를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댄스 리터러시의 함양 을 이끌기 위해서는 각 교육내용에 대한 핵심적인 무용 체험이 이루어져야 할 것과 무용교육의 세 가지 모습 에 따라 댄스 리터러시는 의도적이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함양되어야 함을 논의했다.

Teaching Dance Well to Develop Dance Literacy : Exploring The Meaning and Practice Patterns

Kim, Soo-young

Choi, Eui-chang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eaching dance well’ and the practice patterns in school arts dance classes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ing dance literacy. To address these issues teaching artists(n=10) who join the teaching artists in school program were recrui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self-reflection journals, pictures, videos, etc.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teaching dance well’ is the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 in art dance classes, and it consists of ①fixed movement: memorizes standardized movements according to the dance genre, ➁structured movement: recombines the movement elements in dance variations, ➂ modified movement: creates a new movement ➃liberated movement: reflexively triggered by feelings and emotions. Second, four practice patterns of art dance classes were found: ①sensitivity type, ➁expression type, ➂harmonizing type ➃enjoying type. Accordingly, students showed changes in the surface and interior aspects, and formed the ability to enjoy dance in various ways. Based on this, we discussed that to lead the development of dance literacy, a core dance experience for each educational content must be provided. Also, according to the three appearance of dance education, dance literacy should be cultivated intentionally an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다운로드 (Download) 리스트(List)